의료진 | |
관련 질환명 | |
증상 | |
관련 클리닉 |
비늘증 (Ichthyosis)
- 관련질환명 :보통 비늘증(심상선 어린선, ichthyosis vulgaris), X연관 비늘증(X-linked ichthyosis), 표피박리과다각화증(Epidermolytic hyperkeratosis), 선천열성비늘증(Congenital recessive ichthyosis), 후천비늘증(acquired ichthyosis), 비늘증이 동반되는 질환(diseases associated with ichthyosis)
영향부위 - 증상 : 전신에 산재하는 비늘(scale)성 피부 병변
- 원인 : 유전성 질환
- 진단 : 임상적 진단, 피부 조직 검사
- 치료 : 보습 등의 대증적 치료
개요
- 보통 비늘증(심상선 어린선, ichthyosis vulgaris)
- X연관 비늘증(X-linked ichthyosis)
- 표피박리과다각화증(Epidermolytic hyperkeratosis)
- 선천열성비늘증(Congenital recessive ichthyosis)
- 후천비늘증(acquired ichthyosis)
- 비늘증이 동반되는 질환(diseases associated with ichthyosis)
증상

보통비늘증 (출처 : 제 6판 피부과학, 대한피부과학회, 여문각 2014, Chapter 6. 유전피부질환)

배 부분을 침범한 보통 비늘증 (출처 : McKee’s Pathology of the Skin, 4th edition, Chapter 3. Disorders of keratinization)
원인
진단
치료
일반적으로 비늘증 환자는 오일 등을 발라서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겨울철에는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가 두꺼워져 있는 경우에는 각질 용해제를 사용하는 것을 권하고 있으며, 10% 요소 연고, 3~6% 살리실산 연고, lactic acid나 glycolic acid가 포함된 alpha-hydroxy acid 계통, 또는 60%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을 사용한다. 이외에도 레티노이드나 비타민 D 제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일부 환자에서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선천열성비늘증의 경우에는 레티노이드를 경구 복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혈중 지질의 증가와 뼈과다증을 주기적으로 조사해야 한다. 또한 피부 장벽 기능의 약화로 인해 이차감염이 잘 발생하므로, 2차 감염 발생기 항생제나 항진균제의 치료가 필요하다.
예후
참고문헌
– 제 6판 피부과학, 대한피부과학회, 여문각 2014, Chapter 6. 유전피부질환
–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8th edition, Chapter 49. The Ichthyoses
– McKee’s Pathology of the Skin, 4th edition, Chapter 3. Disorders of keratinization
–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 GARD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http://www.rarediseases.org)
– Thyssen JP, Godoy-Gijon E, Elias PM. Ichthyosis vulgaris: the filaggrin mutation disease. Br J Dermatol. 2013 Jun;168(6):1155-66.
– De Unamuno P, Martin-Pascual A, Garcia-Perez A. X-linked ichthyosis. Br J Dermatol. 1977 Jul;97(1):53-8.
본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내용은 참고사항일 뿐이며 게시물에 대한 법적 책임은 없음을 밝혀드립니다. 본인에 맞는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