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근육통클리닉

※ 클리닉의 경우 해당 진료과로 안내드립니다.

구분 통증
진료과
세부진료과 마취통증의학과(통증센터),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진 문지연, 박한슬, 우성원 (마취통증의학과): 진단, 약물 치료와 다양한 시술 요법
진료시간
비고 일반진료

① 대상질환

  • 섬유근육통(Fibromyalgia)

② 클리닉 소개

섬유근육통은 만성적으로 전신의 근골격계 통증, 뻣뻣함, 감각 이상, 수면 장애, 피로감을 일으키고, 신체 곳곳에 압통점(누르면 아픈 부분)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힘줄 및 인대 근막과 근육, 지방조직 등 연부조직의 통증 증후군입니다.

이 질환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중추신경계의 통증에 대한 지각 이상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즉,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중추신경계의 세로토닌 대사 감소, 체내의 성장호르몬 분비 감소, 스트레스에 대한 부신피질호르몬의 분비 반응 감소, 뇌척수액에서 P 물질(substance P, 통증 유발 물질)의 증가, 자율신경계의 기능 부전 등의 이상이 동반된 것이 밝혀져 있습니다.

가장 주요한 증상은 통증입니다. 섬유근육통의 통증은 신체의 어느 한 부위에서 시작할 수는 있지만, 결국은 전신으로 퍼지며, 얼얼하거나 몸이 뻣뻣한 것처럼 느껴지거나, 깊숙한 곳에서 은근하게 아프기도 하는 등 다양한 양상을 보입니다.

또한, 가벼운 일상생활이나 운동에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는 경직을 주로 호소하는데,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몸의 근육과 관절이 뻣뻣하다가 낮이 되면 대개 호전되는 양상이지만, 증상이 심한 환자에서는 하루 종일 이러한 뻣뻣함을 느끼기도 합니다.

3개월 이상 전신의 근골격계 통증을 호소하고 진찰 시 18개의 특정한 신체 부위 중에 11군데 이상에서 유의한 압통을 호소하는 경우, 섬유근육통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섬유근육통 환자가 이러한 기준에 맞지는 않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압통점의 개수가 적고 일정한 부위에 통증을 더 호소할 수 있다.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근골격계 검사 및 신경학적인 검사는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질환의 치료에는 질환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운동 요법, 수면 개선 및 통증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합니다.
본 클리닉에서는 섬유근육통 환자에 대한 다양하고 풍부한 임상 진료 경험을 바탕으로 기본적인 약물요법과 더불어 증상을 호소하는 부위에 근육압통점치료나 인대 및 관절 치료, 신경 치료, 스트레칭 교육 등을 통해 환자들이 통증을 조절해 드립니다.

③ 참여 의료진

  • 문지연, 박한슬, 우성원 (마취통증의학과): 진단, 약물 치료와 다양한 시술 요법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