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의 호흡 곤란증후군

의료진 김한석, 김이경, 신승한
관련 질환명 유리질막 질환(Hyaline Membrane Disease)
영아 호흡 곤란 증후군(Infantil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 곤란 증후군, 영아(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fant)
영아 호흡 곤란 증후군(IRDS)
증상 분당 70회 이상의 빈호흡, 호기시 신음, 40% 산소 치료에서의 청색증, 심한 흡기 부족, 지속적인 무호흡, 호흡곤란, 함몰호흡, 전신부종, 핍뇨, 장관마비 등
관련 클리닉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이란?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미숙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이다. 대표적인 위험인자로는 적은 재태주수와 출생체중이지만, 후기 미숙아 출생하는 경우나 진통 없이 선택적 제왕절개로 출생하는 경우에도 위험이 증가한다. 발생 빈도는 재태주수와 반비례하는 양상으로 재태주수 22~24주의 경우 95~98%에서 발생하지만, 출생체중이 1,251~1,500gm인 출생아에서는 25%에서 발생하고 있다. 34주 출생아의 5%, 37주 출생아의 1%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인 및 진단

호흡곤란 증후군은 폐의 표면활성물질(surfactant)의 생성과 분비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한다. 미숙아에서 표면활성물질의 활성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폐포의 표면장력이 증가하여 폐순응도가 감소하고 폐의 용적이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해 환기와 관류가 원활하지 못하여 저산소혈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폐손상과 염증유발로 폐부종이 발생하고 기도의 저항이 증가하여 호흡 곤란이 발생한다. 임상적으로는 미숙아에서 출생 직후 점차 진행하는 호흡부전이 흉부영상의 이상 소견과 동반되어 나타날 때 진단할 수 있다. 특징적인 영상 소견으로는 폐 용적의 감소와 과립성 음영(reticulogranular)의 간유리 양상(ground glass appearance), 공기기관지조영상(air-bronchogram)이 있다.

질병의 치료

기관삽관을 통한 적절한 양압 환기 요법과 인공표면활성제의 사용이 표준적인 치료이다. 최근에는 기관 삽관을 통한 지속적인 인공환기요법을 대체하는 치료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인공표면활성제 투여 직후 발관하여 비강지속양압환기요법(nasal continous positive airway pressure)을 적용하는 방법이나 기관삽관을 하지 않고 얇은 관을 통해 기관(trachea)에 인공표면활성제를 투여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기관삽관과 인공표면활성제 사용 없이 비강지속양압환기요법(nasal continous positive airway pressure)만으로도 유사한 치료 성적을 보인 연구 결과도 있다.

신생아의 호흡 곤란증후군

질병의 경과

심하지 않은 호흡곤란 증후군에서는 표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48~72시간 동안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다가 폐의 표면활성제 생성이 증가하면서 생후 1주경에 호전된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부터 도입된 인공표면활성제의 사용으로 이러한 경과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되었다. 급성 합병증으로는 기흉, 감염, 두개 내 출혈(intracranial hemorrhage), 동맥관 개존, 파종혈관내응고 등이 있으며 만성 합병증으로는 기관지폐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신경학적 손상 등이 발생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Richard J. Martin, Avroy A. Fanaroff, Michele C. Walsh, Fanaroff and Martin’s Neonatal-Perinatal Medicine. 10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15.
2. Janet M Rennie, Rennie and Roberton’s Textbook of Neonatology. 5th ed. London: Churchill Livingston, 2012.
Figure legend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에서 인공표면활성제 투여 전후의 흉부영상검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서울대학교병원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내용은 참고사항일 뿐이며 게시물에 대한 법적 책임은 없음을 밝혀드립니다. 본인에 맞는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바로가기